“단어”를 모르면, 공부는 “시작”도 못해요.

“개념어는 학문의 입구입니다.
단어를 모르면, 그 입구에서 들어가지도 못하고 맴돌게 됩니다.”
— 권재원 (국어교육 전문가, 전 교사)


1. 왜 우리 아이는 공부를 열심히 하는데도 막힐까요?

아이를 키우며 부모님들이 가장 많이 하는 말 중 하나는 이런 겁니다.

“얘는 분명히 공부는 열심히 해요. 그런데 왜 이해를 못 할까요?”
“분명히 다 읽었는데, 문제를 못 풀어요.”
“외운 건 같은데, 적용이 안 돼요.”

이런 상황을 보면 흔히 **‘이해력 부족’**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보다 더 본질적인 문제가 숨어 있습니다. 바로,
📌 ‘단어 이해의 부족’, 즉 어휘력의 문제입니다.


2. 공부는 ‘내용’이 아니라 ‘언어’로 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놓치는 사실 하나.

🧠 모든 공부는 ‘언어’로 되어 있습니다.

수학도, 과학도, 사회도, 심지어 체육과 음악 교과서마저 ‘문장과 단어’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이 말은 곧, 단어를 모르고는 그 어떤 과목도 이해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 “물질이 변화할 때는 물리적 변화와 화학적 변화로 나뉘며, 이는 분자의 배열과 성질에 따라 달라진다.”

이 문장에서 ‘물리적’, ‘화학적’, ‘분자’, ‘배열’, ‘성질’ 중 단 하나라도 모르면
지식은 머릿속으로 들어오지 않습니다.

아이 입장에서는 이렇게 됩니다:

“어… 뭔 소리지? 그냥 외워야겠다.”

이것이 바로 **“이해하지 못한 암기”**의 시작입니다.
그리고 이런 식의 학습은 오래 가지 못합니다. 결국, 실전 문제에서 무너지는 공부가 되는 겁니다.


3. 단어를 모르면, 공부는 시작조차 못 한다

이쯤에서 권재원 선생님의 말을 다시 떠올려야 합니다.

“개념어는 학문의 입구입니다.
단어를 모르면, 그 입구에서 들어가지도 못하고 맴돌게 됩니다.”

아이들이 교과서를 펼치고, 글을 읽고도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는 바로 이겁니다.
‘공부의 입구’에서 막힌 것.

  • 개념을 몰라서가 아니라,
  • 단어가 낯설어서입니다.

4. 실제 사례: “모르는 단어 때문에 자꾸 포기해요”

초등학교 5학년 민준이는 수업 시간에 발표도 잘하고, 친구들과도 활발하게 지내는 아이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시험’**만 보면 확연하게 점수가 떨어졌습니다.

엄마는 아이가 게으르지도 않고, 성격도 밝은데 왜 시험만 보면 무너지는지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국어 지문을 함께 읽으며 직접 확인해 보기로 했습니다.

📄 지문: “필자는 이 글에서 인간의 이기심이 자연을 파괴하는 주범이라고 주장한다.”
👦🏻 민준: “이기심은 알아. 근데 ‘필자’가 누구야?”

📄 문제: “이 글에서 ‘주제’를 찾고, ‘논거’를 함께 제시하시오.”
👦🏻 민준: “논거는… 음… 그냥 이유?”

사실 민준이는 지문의 내용을 읽을 수는 있었습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단어, 특히 ‘필자’, ‘논거’, ‘주제’ 같은 핵심 개념어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기에
정답에 접근할 수 없었던 겁니다.

즉,
❌ 이해력 부족이 아니라,
❌ 사고력 부족이 아니라,
단어력 부족이었던 겁니다.


5. 단어 하나가 개념 전체를 열어줍니다

‘응축’, ‘비례’, ‘관찰’, ‘귀납’, ‘통치’, ‘분열’, ‘상반’…

이런 단어들이 교과서에서 쏟아집니다. 그런데 이 단어들 대부분이 한자어이고,
그 구조를 모르면 의미를 유추할 수 없습니다.

📘 예:

  • 비례(比例): 비율이 같다
  • 귀납(歸納): 개별 사실에서 일반 원리를 이끌어냄
  • 응축(凝縮): 엉기고 줄어듦 → 기체가 액체가 되는 과정

이처럼 한자어를 통한 단어 분석은 이해력을 확장시키는 힘이 됩니다.
단어를 알면 개념을 이해하고,
개념을 이해하면 공부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6. 어휘력 부족은 국어 문제가 아닙니다

많은 부모님들이
“우리 아이는 국어 빼고는 괜찮아요.”
라고 말씀하시지만, 사실 국어가 아니라 **‘전 과목에 걸친 언어 문제’**인 경우가 많습니다.

수학 문제도 그렇습니다.

📘 문제: “철수는 사과를 3개씩 4봉지 샀고, 영희는 2개씩 5봉지를 샀다. 철수가 산 사과 개수는?”

여기서 **‘~씩’, ‘~봉지’, ‘개수’**라는 단어가 익숙하지 않으면 아이는 문제 풀이가 아닌 번역부터 해야 합니다.
그만큼 시간이 걸리고, 정확도도 떨어집니다.


7. 어휘력을 기르는 생활 속 습관

📚 그렇다면 어떻게 어휘력을 높일 수 있을까요?

✅ 1일 1개념어 습관

  • 매일 하나의 개념어를 한자어 구조로 해석
  • 예문 작성으로 의미를 정착시킴

✅ 교과서 예습보다 어휘 예습

  • 새 단원 시작 전, 반드시 나올 개념어부터 정리
  • “이번 단원에서 중요한 단어는 뭐야?”를 먼저 묻기

✅ 뉴스·다큐 속 단어 활용

  • 아이와 함께 뉴스를 보며 생소한 단어에 반응하게 하기
  • 예: “소비 심리 위축” → ‘위축’은 무슨 뜻일까?

8. 공부는 단어에서 시작됩니다

아이들은 게으르지 않습니다.
오히려 아이들은 단어 앞에서 조용히 멈춰 설 뿐입니다.

📌 모르는 단어 하나에 막히고,
그 하나 때문에 문장이 안 읽히고,
문장이 안 읽히니 공부가 안 되는 겁니다.

공부의 시작은 교과서가 아닙니다.
공부의 시작은 단어입니다.

단어를 알게 되면, 아이는 당당하게 학문의 입구를 통과하고,
이해하고, 연결하고, 질문하고,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그렇게 단어 하나에서 진짜 공부의 시작점이 열립니다.


🔗 참고 링크

📌 대한검정회 급수별 선정 한자 보기

 📌 내용이 어려운 게 아니라, 단어가 낯선 거예요.


#단어의힘 #어휘력 #문해력 #개념어학습 #한자어이해 #초등공부 #비문학독해 #수학문제읽기 #공부습관 #부모교육

Leave a Comment